브라우저의 핵심 기능은 사용자가 참조하고자 하는 웹페이지를 서버에 요청(Request)하고 서버의 응답(Response)을 받아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이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주소 표시줄, 이전/다음 버튼, 북마크 메뉴 등. 요청한 페이지를 보여주는 창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이다.
- 브라우저 엔진 -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렌더링 엔진 사이의 동작을 제어.
- 렌더링 엔진 - 요청한 콘텐츠를 표시. 예를 들어 HTML을 요청하면 HTML과 CSS를 파싱하여 화면에 표시함.
- 통신 - HTTP 요청과 같은 네트워크 호출에 사용됨. 이것은 플랫폼 독립적인 인터페이스이고 각 플랫폼 하부에서 실행됨.
- UI 백엔드 - 콤보 박스와 창 같은 기본적인 장치를 그림. 플랫폼에서 명시하지 않은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로서, OS 사용자 인터페이스 체계를 사용.
- 자바스크립트 해석기 -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
- 자료 저장소 - 이 부분은 자료를 저장하는 계층이다. 쿠키를 저장하는 것과 같이 모든 종류의 자원을 하드 디스크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HTML5 명세에는 브라우저가 지원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가 정의되어 있다.
렌더링 엔진은 통신으로부터 요청한 문서의 내용을 얻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문서의 내용은 보통 8KB 단위로 전송된다.
다음은 렌더링 엔진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이다.
렌더링 엔진은 HTML 문서를 파싱하고 "콘텐츠 트리" 내부에서 태그를 DOM 노드로 변환한다. 그 다음 외부 CSS 파일과 함께 포함된 스타일 요소도 파싱한다. 스타일 정보와 HTML 표시 규칙은 "렌더 트리"라고 부르는 또 다른 트리를 생성한다.
렌더 트리는 색상 또는 면적과 같은 시각적 속성이 있는 사각형을 포함하고 있는데 정해진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된다.
렌더 트리 생성이 끝나면 배치가 시작되는데 이것은 각 노드가 화면의 정확한 위치에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련의 과정들이 점진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렌더링 엔진은 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가능하면 빠르게 내용을 표시하는데 모든 HTML을 파싱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배치와 그리기 과정을 시작한다. 네트워크로부터 나머지 내용이 전송되기를 기다리는 동시에 받은 내용의 일부를 먼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것을 나름대로 정리하면
브라우저의 핵심 기능은 사용자가 참조하고자 하는 웹페이지를 서버에 요청(Request)하고 서버의 응답(Response)을 받아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이다.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파일 등을 응답받는다. HTML, CSS 파일은 렌더링 엔진의 HTML 파서와 CSS 파서에 의해 파싱되어 DOM, CSSOM 트리로 변환되고 렌더 트리로 결합된다. 이렇게 생성된 렌더 트리를 기반으로 브라우저는 렌더 트리를 배치하고 사용자가 볼 수 있게 그려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우리는 브라우저로 서버에 요청을 하고 응답으로 만들어진 웹페이지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처리하며 이는 동기적으로 이루어지기 동시에 작동 되지 않습니다.
'오늘 뭐했냐 > 개발에 대한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8.04 브라우저는 어떻게 주소를 찾을까? (0) | 2023.08.05 |
---|---|
23.08.03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0) | 2023.08.05 |
23.08.01 CORS (0) | 2023.08.02 |
23.07.31 HTTP 메서드 (0) | 2023.08.01 |
23.07.30 기본키(Primary Key)와 외래키(Foregin Key) (1) |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