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
// for(초기값; 조건식; 증감식){
// }
// i라는 변수는 0부터 시작할거야!
// i라는 변수가 10에 도달하기 전까지 계속할거야!
// i라는 변수가 한 사이클을 돌고 나면 1을 더할거야!
for (let i = 0; i < 10; i++) {
console.log("반복문 확인:", i);
}
// 배열과 for문은 깐부이다.
// for문을 통해 배열에 접근하기 쉽다.
const arr = ["a", "b", "c", "d", "e"];
for (let i = 0; i < arr.length; i++){
console.log(i);
console.log(arr[i]);
}
// 0 ~ 10의 수 중에서 2의 배수만 출력
// for문과 중첩 if문 혹은 논리연산자를 활용한 if문 조합
for (let i = 0; i < 11; i++) {
// if(i%2 === 0 && i !== 0) 한 줄로 변형
if(i !== 0){
if(i%2 === 0){
console.log(i);
}
}
}
// for ~ in문
// 객체의 속성을 출력하는 문법
let person = {
name : "Kim",
age : 30,
gender : "male"
};
for(let key in person){
// person 객체의 key값을 변수 key에 담는다
console.log(key + ":" + person[key])
}
기본적인 반복문이다
반복문은 가장 많이 쓰이는 것 중 하나이니 기본부터 확실히 알고 넘어가자
'오늘 뭐했냐 > 개발에 대한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6(2) (0) | 2023.05.24 |
---|---|
es6(1) - 구조분해할당(destructuring) (0) | 2023.05.24 |
배열(콜백함수o) (0) | 2023.05.23 |
배열(콜백함수x) (0) | 2023.05.23 |
객체(초반 정리) (0) | 2023.05.23 |